Rule 1 If They Tell You It's Long Shot 모두가 뜯어말리는 일은 하지 말라 그들을 믿어라.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뜻이니까.
Rule 2 If It’s a Teeny-Weeny Bit Wrong, Destroy It 조금이라도 잘못된 일은 전부를 버릴 줄 알아야 한다 워드프로세서 지지자들은 얼마나 수정을 잘하는가를 기준으로 기계의 우수성을 따지려는 경향이 있다. 사실 워드프로세서는 키 하나만 두드려도 열아홉 번째 단락이 서른일곱 번째 단락으로 이동하고, 제5장이 제20장으로 둔갑하는 식으로 수정과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사람들은 원고를 마음먹은 대로 뜯어고칠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들어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을 극구 칭찬한다.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이 같은 기능이 결국에는 더 엄청난 시간을 잡아먹기 때문이다. 글쓰기에서 잘못 선택한 단어 하나가 글 전체를 망쳐버리게 마련이다. 그 잘못이 작게 보일수록 글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크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작가란 307페이지 네 번째 문단 끝에서 세 번째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할까를 두고 몇 달을 고심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이들이 원고의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고 그 원고 전체를 쓰레기통에 넣어버리는 것은 더 좋은 글을 쓰겠다는 의지 때문이다. 글쓰기의 진리는 우리 삶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만약 하나의 결과물이나 제품에 약간이라도 잘못이 있다면 그 결과물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만약 우정에 조금이라도 잘못이 있다면 그 우정 전체가 잘못된 것처럼 말이다. 작은 실수를 단순히 정도를 잠깐 벗어난 것으로 여기지 말고, 전체를 대표하는 주의나 경고 표시로 생각하라.

Rule 3 Listen for the Word ‘Great’ ‘대단해’라는 찬사를 조심하라 당신이 어떤 아이디어를 내놓았을 때, 어떤 작품을 완성했을 때, 어떤 제안을 할 때마다 ‘대단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당신이 짐을 꾸려야 한다는 뜻이다. 어떻게 해서 이런 표현이 생겼는지는 나도 모르지만, 위선으로 얼룩진 인간의 역사 어느 지점에서 누군가 다른 사람을 현혹하기 위해, 상대방이 목적지에 이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대방이 하는 일은 무엇이든지 의미 없는 것으로 바꿔치기 위해 이 교묘한 단어를 발견해낸 것이리라. ‘대단해’라는 말이 교묘한 반응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진짜 속뜻과 정반대로 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말을 하는 사람은 사실 당신 또는 당신이 내놓은 아이디어에 조금도 감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도 겉으로는 기를 꺾는 일을 전혀 하지 않는다. 오히려 ‘대단해’라고 말하는 사람은 마치 당신이 페니실린이라도 발명한 것처럼 열심히 소문까지 내준다. 어떤 경우에도 이런 말에 감동하거나 관심을 기울이지 말라. 그렇지 않으면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될 것이다. 누가 당신 의견에 ‘대단해!’라고 감탄한다 해도 ‘재미있군!’쯤으로 알아듣고 집으로 돌아가라.
Rule 4 A Long & Happy Life Laste 5 Minutes 행복한 인생은 길어봤자 5분이다 행복, 물론 좋은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5분 이상 행복했다면, 그것은 당신이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을 때뿐이다.
Rule 5 Change No More than One-Eighth 한꺼번에 인생의 8분의 1 이상을 바꾸지 말라 대부분 사람들의 문제는, 인생에 변화를 주겠다고 결심하면 모든 것을 한꺼번에 바꾸려는 데 있다. 설사 이런 일이 가능하다 할지라도(사실은 불가능하다!) 결국은 곤란에 처하고 말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당신이 그토록 꿈꾸던 소설가, 조각가, 화가로 변신할 좋은 때라는 확신이 서는가? 그럼 먼저 신발을 바꿔 신어라. 새 신발이 얼마나 잘 맞는지 확인하라. 이번에는 머리 가르마를 바꾸어보라. 자, 당신의 모습이 어떤가? 당신이 완전히 변신할 시간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몇 년 안에 당신의 안경을 바꿔보라.
Rule 6 Nobody is Thinking about You 당신만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물론 나도 알고 있다. 당신은 어제의 친구들이 적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단골 가게 주인, 미화원, 목사, 시누이, 하다못해 당신이 키우는 개마저 당신의 몸무게가 늘어난다고, 당신이 무감각해지고 있다고, 당신이 제정신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처럼 느낄 것이다. 게다가 당신은 모든 사람이 당신을 불성실한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당신이 열심히 해놓은 일을 폄하하기 위해, 당신을 해칠 계략을 꾸미기 위해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확신한다. 하지만 장담하건대, 당신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들은 자신만을 생각한다. 당신이 당신 자신만을 생각하는 것처럼.
Rule 7 Push the Wheel Forward
속도를 늦추지 말라 이 법칙의 아이디어는 어린 시절 본 영화에서 영감을 얻은 것인데, 나이가 들수록 이 법칙의 의미가 더욱 가슴 깊이 와 닿을 것이다. 음속을 돌파하기 위해 애쓰는 영국 조종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그 흑백영화의 제목은 <음속의 장벽을 허물며(Breaking the Sound Barrier)>였는데, 순수한 픽션이면서도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영화 속 조종사들은 하나같이 자기 임무에 충실하며 명령에 절대복종했다. 수많은 조종사가 제트기에 올라탄 다음 음속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속도를 높여갔다. 속도가 어느 지점에 이르면 기체는 무섭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조종사들은 충격파를 멈추기 위해 비행 속도를 늦췄다. 이런 시도를 할 때마다 비행기는 급강하해 박살이 나곤 했다. 실험을 할 때마다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조종사가 제트기에 올라타 모든 양상을 바꾸어놓았다. 그가 탄 제트기 역시 음속에 도달해 충격파가 발생했지만 그는 비행을 멈추지 않았다. 대신 계속 속도를 높였고, 순간적으로 충격파 벽을 뚫고 날아 음속을 돌파했다. 인생이란 두려움으로 대하거나 방어적으로 다루면 아주 위험해질 수 있다. 농구 선수 마이클 조든은 자신이 부상을 잘 입지 않는 이유는 “절대로 속도를 줄여서 경기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고백했다. 인생은 전속력으로 부딪치는 사람에게만 아름다운 보상을 해준다. 전속력으로 부딪치며 사는 것이 더 재미있을 뿐 아니라 훨씬 더 안전하다. 세상에 도전하고, 세상에 도전할 것을 만들고, 거기에 따르는 위험을 감수하라. 속도를 올려라. 저 너머에 있는 그곳으로.
Rule 8 Appearance is Frequently Reality 겉모습이 실체를 드러내 보여주는 경우는 아주 많다 학교에서 가르친 것과는 상관없이.
|